캠핑붐이 일면서 전국 곳곳에 다양한 콘셉트의 캠핑장이 많이 생기고 있죠? 저도 작년 가을쯤 처음으로 글램핑이라는 걸 해봤는데 너무 좋더라고요. 그래서 올해 여름엔 가족들과 다 같이 캠핑을 떠나기로 했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캠핑이지만 막상 캠핑장 창업을 하려면 막막하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캠핑장 창업비용과 수익에 대해 알아볼게요.
캠핑장 창업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보통 캠핑장 창업비용은 토지비+건축비+부대시설(샤워실,화장실) 등 부대공사비+인허가 및 설계비+조경/전기/수도 공사비+사이트 구축 시 사이트구축비+기타 잡비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중에서도 특히나 건축비 부분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요. 2,000평 기준 디자인+설계비용 2,000만 원, 건축 및 시공 4~5억 원, 토목+조경 5,000만 원선으로 5~6억 원 정도가 예상됩니다. 여기서 토지구매비용은 별도인 점 참고하세요.
캠핑장 운영수익은 어떻게 되나요?
사실 캠핑장 사업은 다른 사업과는 다르게 성수기와 비수기의 차이가 매우 커요. 그렇기 때문에 1년 내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답니다. 또한 계절별로 이용객수 편차가 크기 때문에 봄가을처럼 날씨가 좋을 때는 예약이 꽉 차지만 비성수기때는 텅텅 비어있는 경우도 많아요. 기본적으로 캠핑장 매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입장료수익이고, 두 번째는 매점/카페 판매수익입니다. 먼저 입장료수익은 말 그대로 캠핑장 방문객에게 받는 요금이고요. 매점/카페 판매수익은 음료, 주류, 과자류, 아이스크림, 장작 등 각종 물품판매액이에요. 다만 이러한 부분은 모두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므로 세금신고 때 주의해야 한답니다.
캠핑장 운영 매출과 순이익은 어떻게 되나요?
캠핑장의 경우 매출이 성수기와 비수기로 나누어서 봐야 합니다. 차이가 극명하게 다르기 때문인데요, 성수기(3~10월) 기준 월매출 4,300만 원, 비수기(11~2월)는 월매출 1,000만 원 정로도 합산해서 산정하면 평균 월매출 3200만 원입니다. 각종 부대비용과 인건비, 임대료, 관리비 등을 지불하고 나면 순이익은 50% 정도 측정되어 1600만 원입니다. 보통 업계에서 3년 정도의 초기 비용회수기간을 잡으면 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캠핑장 창업비용과 수익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아직까진 캠핑장창업이 블루오션이라 경쟁률이 높지 않지만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미리미리 준비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그럼 여기까지 캠핑장 창업비용과 수익에 대한 글이었습니다!
정부지원금 받을 수 있는 곳!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 지원 기관 꿀팁! 모르면 손해예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을 위한 정부지원금 받을 수 있는 곳에 대해서 정보를 알차게 준비해왔습니다. 자영업과 소상공인은 국내 경제의 큰 기둥 중 하나입니다. 그렇지만 때
armtnn.com